내용 목차
리눅스 파일 권한 확인 방법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자. 그리고 파일 권한을 변경하는 방법도 알아보자.

위의 그림의 주황색 사각형을 보면 디렉토리나 파일의 권한을 알 수 있다. 총 10개의 문자나 기호로 나타나 있다. (ex: drwxr-xr-x, drwxrwxrwx)
맨 첫째자리는 폴더나 파일의 유형을 나타낸다. 가장 많이 나오는 유형이 d (디렉토리), – (일반파일), l (심볼릭 링크) 이다.
그리고 나머지 9자리는 3글자씩 끊어서 소유자, 그룹 사용자, 기타 사용자의 권한을 표시한다. r, w, x는 각각 읽기, 쓰기, 실행을 표시한다.

r(읽기)에는 숫자 4를 부여하고, w(쓰기)에는 2, x(실행)에는 1을 부여하였다. 이렇게 숫자를 부여해두고 파일 권한을 확인하거나 변경할 때 유용하게 사용한다. (예: 755, 777, 644)
리눅스 파일 권한 숫자 확인 및 chmod 권한 변경

위의 이미지는 소유자, 그룹, 기타 사용자 모두에게 모든 권한을 부여한 내용이다. 리눅스 파일 권한 명령어는 아래와 같이 사용한다.
chmod 777 [파일명]

위의 이미지는 소유자에게는 읽기,쓰기 가능, 그룹에게는 읽기만 가능, 기타 사용자에게는 읽기만 가능하게 파일 권한을 만드는 것이다. 리눅스 우분투 에서의 명령어로는 아래와 같다.
chmod 644 [파일명]
참고로 chmod를 사용해서 해당 디렉토리 하위에 있는 모든 파일 및 디렉토리의 권한을 변경하고 싶다면 -R 옵션을 사용하면 된다. 예를 들어 오너(소유자)에게만 하위 디렉토리에 있는 것들을 읽기,쓰기,실행 권한을 주고 싶다면 아래와 같이 사용한다.
chmod -R 700 [디렉토리이름]
chown 명령어는 무엇인가?
chown은 change owner의 약자로 사용자(소유자)를 변경할 때 사용한다. chmod는 파일이나 디렉토리 권한을 변경할 때 사용하는 것과 헷갈리지 말자.
만약 그룹을 변경하고 싶다면 chgrp 명령어를 사용하면 된다.
sudo chown 유저명 [파일명] : 유저명으로 해당 파일의 사용자를 변경한다. sudo chgrp 그룹명 [파일명] : 그룹명으로 해당 파일의 그룹을 변경한다.
오늘은 chmod, chown, chgrp 명령어들에 대해 알아봤다.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권한을 변경할 수 있고 어떤 체계로 동작하는 지에 대해 알아봤다.